시사 인터넷뉴스 남원넷

최종편집
  • 2024-05-31 22:12



꽃피는 봄날은 장날이다.


지리산_매화_강병규.jpg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멀리 보이는 지리산 천왕봉엔 아직도 잔설이 많이 남아 있다. 산 넘어 남쪽 섬진강변은 꽃소식이 한창 이지만 내가 사는 이곳 지리산 북쪽 골짜기는 외투를 벋어 던지기가 아직은 두렵다. 하지만, 마당 양지 바른 곳의 구절초 새싹들은 궁금한 게 뭐 그리 많은지 고개를 모두 내밀었다. 그래도 밤에는 영하로 떨어지는 날들이 가끔은 있는데 믿는 구석이 있기는 한가 보다. 실상사 경내의 매화도 이제는 꽃망울을 다 터뜨렸다. 완연한 봄의 시작이라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지리산_매화_3.jpg

단속사지에 있던 “정당매” 지금은 고사해 볼 수 가 없는 매화이다.


식구들을 차에 싣고 섬진강가의 꽃을 보러 갔다. 겨우내 움츠렸던 가슴을 펴고 기지개를 힘껏 켜보고 싶은 마음에 갑자기 결정을 하고 주섬주섬 채비를 했다. 해마다 이맘때는 내가 꼭 찾는 곳이 있다. 지리산을 대표하는 세 그루의 매화 “원정매” “정당매” “남명매”이다. 흔히 지리 3매로도 불리기도 한다. “원정매”는 산청군 단성면 남사리 남사 예담촌에 있다. 고려 말 문신 “원정공 하즙”의 옛집에 있는 매화로 수령이 약 610년 정도 된 고거수 이다.


오랜 세월의 탓인지 본줄기는 대부분 고사되고 곁가지들이 그나마 꽃을 피운다. “정당매”는 산청군 단성면 운리 단속사지에 있다. 고려말 문신 통정 강회백이  유년시절 단속사에서 공부를 할 때 심었다고 전해지는데 수령이 약630년은 족히 넘는 것으로 추정한다. 안타깝게도 2013년경 고사한 것을 확인하고 다시 볼 수 없음을 아쉬워했는데 주위에 어린 매화나무들이 그 혈통을 이어 자라주고 있어 조금은 위안이 된다. 남명매는 산청군 시천면 사리 산천재 앞마당에 있다. 평생을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만 열중한 남명 조식선생이 심었다고 전해지는 매화이다. 수령은 약 440년 정도로 추정되며 빼어난 수형과 짖은 꽃향을 자랑하고 있다.



지리산_매화_2.jpg
산수유 꽃이 활짝 핀  마을의 돌담길


지리산_매화_1.jpg

꽃을 찾아온 여행객들의 아름다운 발걸음


구례군 산동면은 노란 산수유 꽃이 지천이다. 지리산 노고단과 만복대 사이 남서쪽으로 자리 잡은 아늑한 마을들은 이맘때가 되면 찾아오는 인파와 노란 산수유 꽃이 뒤엉켜 야단법석 이다. 지리산온천 지구로도 잘 알려진 탓인지 어른들의 모습이 특히 눈에 많이 띈다. 구례를 지나 섬진강을 따라 내려가면 온통 매화 향이다. 하동군 화개면과 섬진강 건너편 광양시 다압면은 마을 전체가 꽃밭이다. 매화축제장 입구로는 흥겨운 장터가 펼쳐진다. 지금이 한창인 섬진강 벗 굴이 주막마다 산더미처럼 쌓인체 손님을 기다린다. 넓은 주차장 한켠에는 각설이 공연패의 흥겨운 연주가 펼쳐지기도 하고 구수한 입담으로 엿을 파는 소리가 지나치는 어른들의 발걸음을 붙잡는다.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아기는 뜻도 모를 각설이 패 노래의 흥겨운 리듬에 넋을 놓고 어깨를 들썩인다. 발걸음을 재촉하는 엄마의 손길을 단번에 뿌리친다.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꽃을 보고 왁자지껄한 장터의 맛과 분위기를 즐긴다. 


지리산_매.jpg
매화마을의 꽃이 흐드러진 풍경


지리산_매화.jpg
매화가 화사한 꽃 터널을 만들었다.


어찌 보면 너무도 소란스럽고 세련되지 못한 축제마당이란 생각도 든다. 산수유 축제장도 그랬고 매화꽃 축제장도 그렇다. 곧 펼쳐질 쌍계사 주변의 벚꽃 축제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각설이패 공연을 바라보며 엿 한 봉지를 사들고 흐믓해 하던 내 늙은 아버지의 뒷모습을 떠올려보면 이 것 만으로도 고마운 일이지만 다양한 즐거움과 감동을 느낄 수 있는 장을 만들어 보는 것도 생각해 봄직하다. 요즘은 많은 곳에서 전문가들에 의해 축제가 기획된다. 흥겨움도 중요하지만 오래도록 추억할 수 있는 감동도 줄 수 있는 잔치마당 이라면 지리산을 찾는 또 하나의 이유로 충분할 것이다.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Copyright ⓒ 남원넷.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

  1.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14> 젊은 여인의 영혼이 잠든 곳 지리산 만복대

    젊은 여인의 영혼이 잠든 곳 지리산 만복대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노고단에서 바래봉까지 지리산의 서북쪽으로 뻗은 능선을 지리산 서북능이라 한다. 이 서북능의 최고봉이 해발1,438m의 만복대 이다. 만복대는 이름 그대로 넉넉한 모습을 품고 있다. 동쪽...
    Date2015.06.27 By남원넷 Views4783
    Read More
  2.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13> 지리산에 살며 토종닭은 꼭 키워보고 싶었다.

    지리산에 살며 토종닭은 꼭 키워보고 싶었다.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시골에 살며 꼭 해야 할 일들이 있다. 그중 하나는 텃밭을 가꾸는 일이고 또 하나는 똥개 한 마리 쯤 키워보는 일이다. 도시 공간에서는 해볼 수 없는 일이기에 시골생활에서의 간절함으...
    Date2015.06.17 By남원넷 Views5067
    Read More
  3.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10> 지리산 바래봉엔 철쭉만 있는게 아니다!

    지리산 바래봉엔 철쭉만 있는게 아니다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바래봉은 지리산 북쪽 끝자락에 있는 봉우리이다. 산세가 험하지 않고 둥글며 온화한 자태를 자랑하는 모습으로 많은 사람들이 친근감을 느끼는 지리산의 대표적인 봉우리 중 하나 이다. 1,167m...
    Date2015.05.19 By남원넷 Views4216
    Read More
  4.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6> - 가장 지리산다운 것이 가장 아름답다.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가끔 나는 사진작가로서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고 몇날 며칠을 짜증과 막걸리로 보내곤 한다. 20여년을 지리산 만 필름에 담아 왔지만 세월이 흐를수록 그 공허감은 더 커가기만 한다. 몇 해 전부터 여러가지 작업들을 해보고 있다. 지...
    Date2015.04.19 By남원넷 Views3588
    Read More
  5.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3> - 꽃피는 봄날은 장날이다.

    꽃피는 봄날은 장날이다.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멀리 보이는 지리산 천왕봉엔 아직도 잔설이 많이 남아 있다. 산 넘어 남쪽 섬진강변은 꽃소식이 한창 이지만 내가 사는 이곳 지리산 북쪽 골짜기는 외투를 벋어 던지기가 아직은 두렵다. 하지만, 마당 양지 ...
    Date2015.03.30 By남원넷 Views386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no_have_id

use_signup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