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도는 쌀…어떤게 해답 인가?

by 편집부 posted Sep 22,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1.jpg


쌀은 넘쳐 쌓이는데 올해도 풍년이다.

 

농민들은 풍년을 마냥 즐거워할 수만 없는 현실 속에 추수가 시작되면서 쌀값 걱정과 미곡처리장도 비상이다.

 

인건비를 포함해 쌀 생산 비용은 해마다 올라가는데 쌀 예상 수매가는 40㎏에 4만원, 지난해보다 30% 가까이 떨어졌다.

 

국내 1인당 쌀 소비량은 해마다 2㎏씩 줄어 지난해에는 63㎏ 수준까지 떨어졌다.

 

국민 전체 쌀 소비량은 390만톤에 연간 쌀 생산량은 430만 톤 으로 40만 톤이 남아돈다.

 

여기에 8월말 기준 쌀 재고량은 정부양곡 175만톤, 민간양곡 25만톤으로 200만톤이 쌓여 있다.

 

농민단체 등에서는 실수요외 남는 전량을 정부가 매입해 가격하락을 막아야 한다며 주장하고 있다.

 

정부는 예상수확량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결정하기 어려운 문제라며 쌀 수급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어 마찰이 예상되고 있다.

 

농민단체등은“쌀 정책에 실패한 정부가 모든 고통을 농민에게 떠넘기려 한다”며“올해 생산된 쌀을 전량수매 해 농민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고 주장하고 "정부에서 해마다 수십만톤씩 쌀을 수입해 재고로 남기기 때문에 쌀값이 폭락하고 있다." 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한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는 본격적인 수확기에 앞서 벌써부터 쌀 대란이 우려되는 가운데 조속한 쌀 가격 안정대책 마련 및 쌀 생산 농업인 생존권 보장, 그리고 쌀 수급조절을 위한 2017년도 예산수립을 촉구했다.

 

정부, 여당은 22일 고위 당정청 회의를 열고 과잉 생산으로 값이 폭락하는, 쌀의 수급 안정을 위한 대책을 협의한다. 정부의 쌀 수매와 '절대농지'라고 불리는 농업진흥지역 추가 해제와 관련한 구체적 논의가 오갈 예정이다.

 

현재 정부재고량은 175만톤으로 총 보관능력인 279만톤의 79%수준에 달해 올해 공공비축미곡 매입에는 차질이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농식품부는 쌀값 하락시에도 고정·변동직불금을 통해 목표가격인 18만8000원(80kg기준)의 97% 수준을 보전, ㏊당 쌀 직불금이 지난해보다 37만원 증가한 237만원(고정100, 변동 137)으로 정했다.

 

수확기 쌀값이 예산안 반영 기준보다 낮아질 경우 예산안 추가반영을 추진할 계획이며 올해 예상생산량이 공표되는 10월 중순께 수확기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편집부>


Copyright ⓒ 남원넷.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rticles

8 9 10 11 12 13 14 15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