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63 추천 수 0 댓글 0

탈북민의 가정폭력과 사회적 차별 경험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북한사회는 가정폭력이란 말 대신 가정불화라는 개념에 친숙해져 있어 이들에게 가정폭력이란 용어는 생소한 것이며, 과거부터 남성이 행하는 폭력으로 인한 피해자를 보고 “맞을 짓을 했으니 맞았겠지”라고 말할 정도로 폭력이 용인돼 왔다고 한다.


그렇기에 이들은 과거(재북시절)에 주로 참고 살아온 경험과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참는 것 외에 다른 대처방법을 잘 모르는 게 현실이다.

 
대한민국에 입국한 탈북민이 3만명에 이르는 지금, 이들은 사회적 차별과 문화적 부적응, 여기에 가정폭력 등 4대 사회악 피해를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우울증과 대인기피증, 정신질환에 시달리고 최악의 경우 자살과 재입북을 택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이것이 탈북민들에게 가정폭력이 어떠한 범죄이며, 피해를 당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고 어떻게 사후 관리해야 하는지를 알려야 하는 이유이며 이들을 위해 우리가 가져야할 최소한의 관심과 배려인 것이다.

 
경찰에서는 탈북민들의 사회정착, 가정폭력 등 4대 사회악 피해 예방과 홍보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일선에서 탈북민 정착을 지원하는 경찰관으로서 이들 스스로가 자립하고 자활할 수 있도록‘개인별 눈높이 상담․지원’과‘사회적응 동행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는데, 우리사회 문화․제도에 조금씩 친숙해지는 이들을 보면서 뿌듯함을 느끼곤 한다.


물론 오랜 기간 쌓였던 마음의 병을 몇 번의 홍보와 예방활동으로 해결한다는 것은 무리일 것이나 탈북민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꿔 나가는 우리의 관심과 배려가 더해진다면 탈북민들이 우리사회 구성원으로서 안정적으로 정착하는데 큰 힘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최근 들어 북한군 장교와 외교관, 외화벌이 일꾼 등 북한 내 엘리트층이 잇따라 탈북하여 대한민국에 입국하고 있다.


익숙하지 않은 남한사회 문화․제도적 차이로 정착에 어려움을 겪으며 힘들어하고 있는 탈북민은 없는지 살펴봐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남원경찰서 보안계장 김판수>


Copyright ⓒ 남원넷.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28Nov
    by 편집부
    2016/11/28

    약자의 발이 되어주는 배리어프리를 알고계십니까?

  2. No Image 22Nov
    by 편집부
    2016/11/22

    졸음운전, 음주운전보다 위험하다!!

  3. 21Nov
    by 편집부
    2016/11/21

    유령 집회는 집회의 자유를 침해하는 명백한 범법행위.

  4. 16Nov
    by 편집부
    2016/11/16

    중고차 구별방법으로 침수차량 구매 막자

  5. 15Nov
    by 편집부
    2016/11/15

    무단횡단 근절하자

  6. 14Nov
    by 편집부
    2016/11/14

    자전거의 주민등록증과 같은 자전거 등록제

  7. 14Nov
    by 편집부
    2016/11/14

    11월은 안개길 교통사고 조심

  8. 10Nov
    by 편집부
    2016/11/10

    노인들의 자살은 사회적 타살이다.

  9. 09Nov
    by 편집부
    2016/11/09

    수능시험 준비물을 꼼꼼히 준비하자

  10. 09Nov
    by 편집부
    2016/11/09

    허위신고는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죄

  11. 08Nov
    by 편집부
    2016/11/08

    사전등록제로 안전한 가을나들이

  12. 07Nov
    by 편집부
    2016/11/07

    음주운전 인식변화가 필요하다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 49 Next
/ 49
비회원
우측 상단 버튼으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