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크기변환_3.JPG


남원시는 2020년 상반기 유기질비료 3천813세대 97만1천포(20kg/포)공급을 완료하고, 하반기 시기가 미도래되어 아직 공급받지 않은 농가들(과수농가 3천181세대)을 대상으로 63만7천포(20kg/포)를 9월부터 공급한다고 28일 밝혓다.


이를 통해 정부방침인 농림축산부산물의 재활용·자원화를 촉진하고 토양환경을 보전 친환경농업 실천기반을 지속적으로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에 공급되는 유기질비료는 유기질비료 3종(혼합유기질, 혼합유박, 유기질복합비료)과 가축분퇴비와 퇴비로 지난해 11월 23개 읍면동을 통해 신청 접수한 결과 총 2,000천포(20kg/포)가 신청됐다.


하지만 국비 26억원의 유기질비료지원사업 예산으로는 신청량 대비 공급량이 70%로 농가들의 원성 및 영농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돼, 남원시는 부족분 24만포의 예산 3억8천4백만원을 확보해 친환경유기질비료를 공급함으로써 농가들의 민원을 해결했다.


또한 6억원의 예산을 확보, 타 시군에서 공급되는 물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내에서 생산한 가축분퇴비와 퇴비 구입농가에게 포당 300원을 보상금으로 지원한 바 있다.


이로써 농가 자부담을 낮추고 관내 비료업체 제품선호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관내 8개 퇴비공장 가동률 증가, 관내축산농가 축분 적기 수거로 악취민원 해결 및 깨끗한 축산농장환경을 조성하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다.


한편, 남원시는 63만7천포(20kg/포)의 퇴비를 오는11월까지 공급 완료해 적기영농에 차질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유기질비료의 사용을 통해 고품질 안전농산물 생산과 농업생산비 절감 및 농가들의 소득증대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편집부>


Copyright ⓒ 남원넷.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921 남원시, 내땅 개별공시지가 얼마인지 알아봅시다! file 2017.04.11
920 남원시농업기술센터 전 직원, 새벽 일제 출장! file 2017.04.11
919 남원시, 서울 가락몰 남원 농특산물 홍보·판매관 오픈 file 2017.04.10
918 남원시농업기술센터, 이젠 귀농·귀촌의 시작도 교육부터! file 2017.04.10
917 남원시농업기술센터, 영농 폐기물 배출시 보상받고 환경보호 하세요! file 2017.04.10
916 지리산 바래봉영농조합 양용택 대표, 국무총리상 수상 file 2017.04.07
915 남원시, 벼육묘장 지원으로 고품질 쌀 경쟁력 육성 file 2017.04.06
914 남원시농업기술센터, 농업기상관측장비 측기검정 실시 file 2017.04.05
913 남원시농업기술센터, 육묘상처리제 효과적 사용방법,주의사항 당부 file 2017.04.05
912 남원시,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 추진... file 2017.04.05
911 남원시, 이유미 국립수목원장 초청 '숲으로 가는 길' 특강 file 2017.04.04
910 사과 배 화상병 적기방제 당부 file 2017.04.04
909 남원시, 예비 사회적기업 공모에 4개 기업 지정... file 2017.04.04
908 남원 사매 일반산업단지 조성공사 본격 착공 file 2017.03.31
907 『남원참미』농협RPC 대표브랜드쌀 최초선정 쾌거... file 2017.03.31
906 남원시, “농번기 맞아 영농폐기물 집중 수거기간 운영” file 2017.03.30
905 남원시, 지리산허브밸리 허브체험관광농원 분양해... file 2017.03.28
904 남원시 고품질 쌀 생산에 박차 ! file 2017.03.27
903 남원시, 2017년산 공공비축미곡 전량 톤백벼(800kg) 매입 추진 file 2017.03.23
902 남원시 허브식품 융복합산업화사업단, 허브산업 R&D 활용방안 워크숍 개최 file 2017.03.22
Board Pagination Prev 1 ... 155 156 157 158 159 ... 203 Next
/ 203
비회원
우측 상단 버튼으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