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4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리산댐(문정댐).jpg


환경부가 지난 18일 논란이 돼온“지리산댐 건설 추진계획이 없다”고 밝히면서 10여 년 동안 정부와 시민단체의 갈등을 초래해온 지리산댐 건설 문제가 당분간 중단될 것으로 보인다.


그간 지리산댐 건설에 반대해 온 환경단체들은 정부의 이 같은 결정을 반기고 있지만, 지리산댐건설에 찬성 입장을 보여온 함양군 처지로선 닭쫒던 개 지붕 쳐다보는 격이 됐다.


환경부는 지난 9월 18일 향후 물관리 정책방향과 과제를 담은‘지속 가능한 물관리를 향한 첫걸음’발표를 통해 댐 정책을 종전의‘건설’에서‘관리’형태로 바꿔 가겠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특히“경남 지리산댐은 해당 지역에서 찬반 논란과 갈등이 많은 것으로 안다”며“환경부는 댐 건설 추진 계획이 없고, 다만 자치단체가 건의하는 중소규모의 댐은 적법절차에 따라 사회적 합의를 전제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히며 불씨는 여전히 살려두고 있는 모습이다.

 
국토교통부는 그간 함양군 휴천면 문정리(용유담 일원)에 높이 107m, 총저수량 6700만㎥, 저수 면적 2.3㎢ 규모의 지리산댐 건설을 추진해왔다. 지리산댐은 1984년 수력발전용 댐이 처음 추진되면서 논란이 불거졌으며 1999년에 식수댐, 2000년대 들어 다목적댐과 홍수조절용 댐으로 거론되며 갈등의 진원지가 돼 왔다.


2012년 국토부는 댐 건설 장기계획을 수립하고, 이듬해 5월 총저수량 6천7백만 톤 규모의 홍수조절용 댐을 기획했지만, 명승지인 함양 용유담이 수몰되는 등 환경 파괴 우려가 커지면서 지역 시민단체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특히 홍준표 전 경남지사가  댐 건설이 필요하다는 입장과 함께 다목적 댐을 건설해 남는 물을 부산지역에 공급하겠다고 밝혀 환경단체의 반발을 샀다.


이에 지난 대선 당시 문재인 대통령 후보는 생태계 파괴 등을 이유로 지리산댐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문재인 정부 출범 후 김현미 국토부 장관이 이곳에 홍수조절용 댐을 건설하겠다고 밝혀 다시 한 번 논란이 됐다.


그러던 중 지난 7월 물관리 일원화법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하천 관리를 제외한 모든 수자원 관리 업무가 국토교통부에서 환경부로 넘어가며 상황이 달라졌다.


국토교통부의 일방적인 추진으로 논란이 돼 왔던 지리산댐을 환경부가 원점 재검토하는 분위기가 무르익었기 때문이다.


환경부의 지난 18일 발표로 지리산댐 건설이 사실상 백지화되자 환경운동연합은“지난 7월 물관리 일원화법이 통과되며 환경부가 댐 건설 관련 권한을 가져가게 돼 이 같은 결론이 나올 줄 짐작했다”면서“홍수조절용 댐을 지으려던 계획이 사실상 백지화된 점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리산 댐 건설반대 또 다른 단체의 한 관계자는“지리산댐이 사실상 백지화된 것을 환영한다”면서도“하지만 앞서도 폐지됐다가 정권이 바뀌면서 다시 되살아난 바 있는 댐 계획이어서 추후 진행 과정을 면밀히 살펴볼 것이다”며 "추후 지리산 댐 건설이 다시 살아날 가능성에 대해서 배제하지 않고 있다." 고 말했다.


문정댐은 저수용량 1억7000만t 규모의 홍수조절용으로 지난 2012년 말 정부의 댐 건설 장기계획에 포함됐지만,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문재인 대통령 후보는 문정댐을 원점에서 다시 재검토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편집부>


Copyright ⓒ 남원넷.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 환경부, 경남도 지리산케이블카 사업 '부적합' 반려 file 편집부 2016.07.08 4027
58 함양군의회, 문정댐 관련 성명서 발표하고 다목적댐 건설 주장 file 최재식기자 2014.11.23 2073
57 함양군, 지리산 문정댐 영향 학술용역 시작 최재식기자 2015.02.15 1867
56 지리산에 댐을 만들어야 하는 이유는 어디에도 없다. file 최재식기자 2014.10.22 1845
55 지리산생명연대, 지리산 용유담 보전 토론회 개최 file 편집부 2017.10.17 2438
54 지리산댐의 추진배경 file 최재식기자 2014.10.27 4995
53 지리산댐 의 현실 file 최재식기자 2014.10.28 1686
52 지리산댐 백지화 대책위원회 - "용유담으로 가을소풍을!" file 최재식기자 2014.10.18 2187
51 지리산댐 반대 대책위원회 "용유담으로 소풍가자" file 최재식기자 2014.11.16 2258
50 지리산댐 건설 반드시 막아야 한다! file 최재식기자 2014.10.31 1989
49 지리산 케이블카 반대 공동행동, 지리산 노고단서 '케이블카 반대 문화제" 열어 file 편집부 2015.10.18 2652
48 지리산 등 환경단체, "함양댐 연구용역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라" file 편집부 2016.05.06 3265
47 지리산 댐·케이블카 강행…지리산 인근 지자체 갈등만 부추켜... file 편집부 2016.11.01 3728
» 정부, 지리산댐 건설 계획 사실상 '백지화’ file 편집부 2018.09.24 3421
45 전주지법 "서남대 재정기여 우선협상자 선정은 정당" file 편집부 2015.04.11 2006
44 이환주 남원시장에게 듣는다. file 남원넷 2014.11.06 1885
43 어처구니 없는 남원시 file 편집부 2016.06.09 5040
42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28일 '운명의 날' file 편집부 2015.08.28 1927
41 설악산 오색에 케이블카 신설.. "경제효과 年1287억" file 편집부 2015.08.29 3009
40 서남대학교 정상화와 지역사회발전에 기여하는 건전한 재정력을 갖춘 주체를 찾아야 최재식기자 2015.01.15 227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비회원
우측 상단 버튼으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