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jpg

 

남원시가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복원정비를 위해 추진한 발굴조사에서 가야시대 지배계층의 상징물인 통형기대와 은장 마구류 등이 발견돼 주목받고 있다는 가운데 시는 금번 발굴조사 현장설명회를 오는 18일에 개최한다.


16일 시에 따르면, 이번 발굴조사 당시 2기의 고분(20·24호분)에서 가야시대 지배계층의 무덤임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들이 대거 출토됐다.


발굴조사 된 고분의 봉분은 직경 20m 내외 규모로, 24호분의 경우 주위에 주구(도랑)가 시설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봉분 축조 시 토제(흙둑), 구획성토, 토괴(흙덩어리) 등의 정교한 축조기술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매장시설은 소형 할석과 천석을 깔아 시신을 안치하고 유물을 부장하는 수혈식 석곽묘 형태로 확인됐다.


수혈식 석곽묘는 땅을 수직으로 판 후, 그 안에 돌로 네 벽을 짠 무덤이다.

 

2.jpg


매장시설 내부에서는 그릇받침(기대), 뚜껑있는 긴목항아리(유개장경호), 목짧은항아리(단경호) 등의 토기류와 함께 은으로 장식된 재갈(판비), 말띠꾸미개(운주), 말띠드리개(행엽), 말안장(안교), 말띠고리(교구) 등의 마구류가 부장된 상태로 출토됐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은장심엽형 행엽이 전북지역 가야 고분에서는 처음으로 출토된 점이다. 이는 당시 이 지역 지배층의 높은 지위와 경제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로 평가된다.

 

3.jpg


이외에도 24호분 주구에서는 지배층의 상징물로 알려진 원통 모양 그릇받침(통형기대)가 출토돼 고분의 성격을 더욱 명확히 해주고 있다.


20호분과 24호분은 삼국시대 이 지역을 기반으로 발전한 가야 세력의 지배층 무덤으로, 고분 축조방법과 출토 유물 등을 종합해 볼 때 6세기 전반경의 고분으로 추정된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시 관계자는 "이번 발굴조사 내용을 고분군의 체계적인 보존관리를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하고, 봉토의 복원정비, 수목정비 등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편집부>

 


Copyright ⓒ 남원넷.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 남원시, 어르신 복지강화로 선도적 노인복지 모델 구축 file 편집부 2025.07.07 15
11 남원경찰서, 고령자 대상 보이스피싱 예방 홍보활동 실시 file 편집부 2025.07.07 21
10 남원시, 플레이(Play)남원 아카데미 유현준 건축가 초청 강연 file 편집부 2025.07.08 17
9 남원시, 제39회 전국춘향미술대전 시상식 개최 file 편집부 2025.07.08 30
8 남원경찰서, 6대 교통질서 확립 캠페인 실시 file 편집부 2025.07.09 97
7 남원시자원봉사센터, 제5회 남원시자원봉사박람회 개최 file 편집부 2025.07.11 26
6 남원시, 노인맟춤돌봄서비스 위급 상황 어르신 구해 file 편집부 2025.07.15 26
5 남원시, 월세 1만원 ‘남원 피움하우스’ 입주자 모집 file 편집부 2025.07.15 77
4 남원시, 여름 휴가철 지리산 뱀사골 일대 교통지도 강화 file 편집부 2025.07.15 13
3 남원시, 한국실업볼링연맹 물티슈 110박스 기부 file 편집부 2025.07.15 13
» 남원시, 유곡리·두락리 고분군서 가야 지배층 상징물 발굴 file 편집부 2025.07.16 10
1 남원경찰서, 김우석 서장 휴가철 자연재난 대비 지리산 야영장 유관기관 합동 점검 실시 file 편집부 2025.07.16 25
Board Pagination Prev 1 ... 657 658 659 660 661 Next
/ 661
비회원
우측 상단 버튼으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