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07 추천 수 0 댓글 0

경사 이창현.jpg <경사 이창현>

 

해방 이후 지금까지 집회시위 문화는 폭력적인 집회에서 비폭력 평화시위로 국민들이 자유롭게 참여하는 형태로 변화해 왔다.  

 

촛불집회, 코로나19 등 여러 가지 이슈로 인해 폭력적인 집회는 거의 사라졌으나 집회 현장에서 아직도 남아 있는 분쟁의 씨앗은‘소음’이다.

  

코로나19라는 감염병으로 인해 우리 주변은 많은 변화가 일어났으며, 집회시위 현장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하지만 집회 현장의 사람들은 줄어들었지만, 차량 확성기를 통해 퍼져나가는 소리는 변화하지 않고 있다.

  

집회시위 권리는 방해하지 않으면서 공공의 안녕질서와의 조화를 구현하기 위해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집회현장에서 소음도를 일정 기준치에 따라 제한하고 있다. 

 

주간 시간대 주거지역·학교·종합병원‧공공도서관의 소음기준은 65㏈이며 최고소음도는 85㏈이며 시간대와 장소에 따라 55∼95㏈의 일정 기준치를 적용하고 있다. 

  

코로나19와 그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눌려왔던 집회시위 수요가 올해 대선으로 인한 새 정부 출범 초기와 맞물리면서 집회시위가 급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집회 측의 정당한 권리행사를 넘어 주변 시민과 상대를 괴롭히는 악성 소음은 집회의 목적달성 범위를 넘어서 사회통념상 용인 될 수 없을 것이다.  

 

이에 경찰은 소음기준을 초과하는 소음에 대해 기준 이하의 소음을 유지하게 하거나 확성기 등의 사용을 중지하는 명령 등을 할 수 있다. <남원경찰서 경비교통과 경사 이창현>


Copyright ⓒ 남원넷.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30Oct
    by 편집부
    2024/10/30

    알기 쉬운 보이스피싱 예방법

  2. 12Jun
    by 편집부
    2024/06/12

    타인을 배려하는 집회 소음기준 준수, 나의 주장도 배려받을 수 있다

  3. 04Jan
    by 편집부
    2024/01/04

    진화하는 신종스미싱 예방이 최우선!

  4. 21Feb
    by 편집부
    2023/02/21

    봄철 산불, 예방이 최선!

  5. 28Dec
    by 편집부
    2022/12/28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전화금융사기 예방법

  6. 12Dec
    by 편집부
    2022/12/12

    서민 2번 죽이는 보이스피싱 범죄 이렇게 예방하자.

  7. 30Jun
    by 편집부
    2022/06/30

    민선8기 최경식 시장과 도, 시의원들에게 남원의 미래를 기대한다

  8. 12Apr
    by 편집부
    2022/04/12

    작지만 큰 위협, 드론테러

  9. 08Apr
    by 편집부
    2022/04/08

    집회 소음이 아닌 공감을 전하는 소리가 되기를...

  10. 22Mar
    by 편집부
    2022/03/22

    어린이 교통사고 모두가 노력하면 줄일 수 있다

  11. 18Mar
    by 편집부
    2022/03/18

    개인형 이동장치(PM), 안전하고 편리하게 타자

  12. 08Dec
    by 편집부
    2021/12/08

    <모닥불 칼럼> 이용호 의원의 또 다른 변신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49 Next
/ 49
비회원
우측 상단 버튼으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