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405 추천 수 0 댓글 0

고로쇠 수액은 경칩 전후로(2월 중순~ 4월 초순까지) 주로 채취하지만, 그 시기의 기후에 따라 빨라지거나 늦춰질 수도 있다.


일교차가 약 12~15도(밤에는 영하 3~4도, 낮에는 영상 10도 정도)에서,바람이 불지 않는 맑은 날에만 채취할 수 있다.

 

Screenshot_2016-02-07-21-11-03.png

 

밤에 얼지 않거나 반면, 낮에 춥거나 덥거나(영상 15도 이상), 흐리거나, 비 오거나, 바람이 심한 기후에선 고로쇠수액을 제대로 채취할 수 없다.


단풍나무의 일종인 고로쇠나무에 구멍을 내면 마치 눈물방울 떨어지듯 물이 나오는데, 그 영양과 효능은 전설과 함께 많이 알려져 있다.


본래의 이름은 '골리수(骨利樹)'라는 이름에서 유래된 고로쇠, 말 그대로 뼈를 이롭게 하는 나무다.


골리수의 유래는 삼국시대의 도선국사가 장시간 바위에 앉아 수도한 후 일어서려는데 다리가 제대로 펴지질 않자, 앞에 늘어진 나뭇가지를 잡고 일어서려니 가지가 뚝 부러졌다.


이내 부러진 가지에서 수액이 떨어지기에 이를 받아마시니 무릎이 펴졌다. 이로 인해 '골리수(骨利樹)'란 이름이 되었으나 세월이 흘러 오늘날엔 '고로쇠'란 사투리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고로쇠의 효능에 얽힌 또 다른 이야기 역시 삼국시대부터 전해 온다.


백제와 신라군이 지리산에서 전투 중에 갈증이 심했으나 물을 찾을 수 없었다. 때마침 화살이 박힌 나무에서 물이 줄줄 흘러내리는 것을 발견하고 (고로쇠) 나무를 벗겨 흐르는 수액을 받아 마시니 병사들이 갈증이 풀리고 힘이 솟아났다.


또한 부상당한 병사들에게 먹이니 회복이 빨라 이후로는 활이나 창칼에 다칠 경우에도 약으로 활용했다 하며, 고로쇠의 잎은 지혈제로, 뿌리는 관절통 및 골절 치료제로도 쓰인다.

 

       고로쇠나무.jpg

 

고로쇠·고로실나무·오각풍·수색수·색목이라고도 하며, 나무껍질은 회색이고 여러 갈래로 갈라지며 잔가지에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둥글며 대부분 손바닥처럼 5갈래로 갈라진다. 잎 끝이 뾰족하고 톱니는 없다.


천연 이온수 고로쇠 수액에는 골격을 형성하는데 필수 요소인 칼슘(Ca), 혈압조절 및 혈압 질병을 예방하는 칼륨(K), 성장 및 골격구조를 형성하는 망간(Mn), 혈액 내 적혈구의 구성 성분인 철분(Fe), 신경계를 정상으로 조절 유지하는 마그네슘(Ma), 이외로도 허약, 피로, 탈수 현상을 개선하는 아연, 황산, 나트륨 등​ 다양한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고로쇠1.jpg

 

고로쇠수액 보관 및 섭취방법은 고로쇠수액은 방부제가 섞이지 않은 천연 이온수이므로 신선할 때 마시면 영양과 효능이 가장 좋다.


고로쇠수액은 채취한 후 서늘한 곳 또는 냉장고에서 약 1주일 보관 가능하다. 고로쇠수액에는 각종 미네랄과 섬유질이 풍부하므로 간혹 뿌연 침전물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자연스런 현상이므로 안심하고 드셔도 된다.


고로쇠수액을 장시간 보관하려면 냉동 보관한다. 고로쇠수액으로 밥을 짓거나 미역국, 떡볶이 등을 조리하면 음식이 부드럽고 소화가 아주 잘 된다.


수액을 마실 수 있는 나무로는 고로쇠나무,거제수나무,박달나무,호깨나무,노각나무,머루덩쿨,다래덩쿨,으름나무,자작나무,단풍나무,대나무,서나무,피나무,층층나무가있다.  <남원넷 발행인 최재식>


Copyright ⓒ 남원넷.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어린이 보호구역’ 어린이를 지켜주세요

    ▲남원경찰서 교통관리계 순경 박진희 대부분 아이들은 도로위의 공을 주우려는 생각에 주위를 살피지 않고 도로에 뛰어들거나, 친구들과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사고의 위험성은 잊은 채 갑작스럽게 도로에 뛰어 들어 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스쿨존 내 운행차량...
    Date2016.03.03
    Read More
  2. No Image

    교통문화의 개선을 바라며

    경찰은 아침, 저녁 학생들의 등하교시간, 시민들의 출퇴근시간에 주요 통학로, 교차로에서 러시아워 근무를 실시하고 있다. 교통법규를 위반하는 차량과 보행자가 법규위반을 자제하는 효과도 있을 것이고 4대악 등 경찰홍보활동이 이루어지기도 하는 근무이다...
    Date2016.03.03
    Read More
  3. ‘신학기’ 맞아 ‘학교폭력’ 사전에 예방대책 세워야...

    ▲남원서 중앙지구대 순경 양예라 3월 신학기 시즌이 다가오면서 ‘학교 폭력’ 예방에 우리 경찰은 서둘러 예방대책들을 내놓고 있다. 현재 많은 학생들이 새로운 학기 개학을 앞두고 스트레스를 경험한다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면 ‘새...
    Date2016.03.03
    Read More
  4. No Image

    학교폭력 예방은 가정에서부터

    학교폭력은 경찰이 역량을 집중해 예방 및 근절에 지속적으로 노력한 결과, 적극적인 신고문화가 조성되고, 피해 경험률이 현격하게 감소했지만 여전히 근절되지 않고 있다. 학교폭력에 따른 가해·피해 학생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사후관리 또한 매우 필요하...
    Date2016.03.03
    Read More
  5. No Image

    자전거 음주운전, 단속 벌금 20만원?

    술을 마시고 자전거를 타도 단속된다? 회식자리에 음주운전을 하지 않기 위해 자동차를 집에 두고 자전거를 타고 오는 사람이 종종 있다. 하지만 이제는 술을 마시고 자전거를 타는 것도 지난달 26일 자전거 음주운전에 최고 20만원의 벌금이나 과료, 구류에 ...
    Date2016.03.03
    Read More
  6. ‘안개등’ 올바르게 사용해야

    ▲남원경찰서 경비교통과장 오쌍섭 요즈음 낮과 밤의 큰 일교차로 안개가 끼는 날이 많아지고 있으나 차량의 안개등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사용 시기를 아는 운전자는 많지 않아 보인다. 야간운전을 하다보면 상당수 차들이 전조등과 함께 안개등도 같이 켜고 ...
    Date2016.03.03
    Read More
  7. 신학기 학교폭력 사랑과 관심으로 예방하자.

    ▲남원경찰서 경무계장 박흥규 모든 학교가 신학기 입학식과 함께 학생들이 새로운 친구들과 사이좋게 잘 지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많은 관심과 학교폭력 예방 조치를 하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학생들을 사랑과 관심으로 대하는 것이 제일 중...
    Date2016.03.02
    Read More
  8. 관공서 주취소란 난동행위는 명백한 범죄행위

    ▲남원경찰서 주생파출소장 경위 신창균 술에 취한채 관공서를 찾아가 공무원들을 모욕하고 심지어는 폭력을 행사하는 묻지마식 화풀이 소동으로 업무를 마비시키는 일이 끊이지 않고 있다. 술취한 사람이 파출소에서 난동을 피우고, 많은 경찰관들이 이를 달래...
    Date2016.02.29
    Read More
  9. 도로위의 작은 싱크홀, 포트홀 조심하세요

    최근 낮과 밤의 큰 일교차로 인해 도로가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면서 도로에 싱크홀과 포트홀이 발생해 도로상의 위험구역이 발생하고 있다. 포트홀이란? 아스팔트 도로 위에 작은 균열이 반복적인 충격 때문에 떨어져 나가면서 크고 작은 구멍이 생기는 것을...
    Date2016.02.29
    Read More
  10. 신학기 학교폭력 관심으로 대처하세요

    ▲남원경찰서 경무과장 강대철 지난 겨울 움츠렸던 생명력이 태동하고, 온 천지에 꽃 향기를 퍼트리기 위해 힘차게 몸을 일으키는 새싹들이 소리내는 3월이다. 그러나 이러한 좋은 소리와 함께 나쁜 소리도 함께 들릴 수 있다. 바로 학교폭력이다. 개학과 함께 ...
    Date2016.02.29
    Read More
  11. ‘신비의 물’고로쇠 수액, 고로쇠의 효능에 대해...

    고로쇠 수액은 경칩 전후로(2월 중순~ 4월 초순까지) 주로 채취하지만, 그 시기의 기후에 따라 빨라지거나 늦춰질 수도 있다. 일교차가 약 12~15도(밤에는 영하 3~4도, 낮에는 영상 10도 정도)에서,바람이 불지 않는 맑은 날에만 채취할 수 있다. 밤에 얼지 않...
    Date2016.02.27
    Read More
  12. 학교폭력 없는 새 학기를 만들자!

    ▲ 남원경찰서 여청수사팀장 조휴억 향긋한 봄을 맞는 3월의 둘째 날에는 모든 학교의 학생들이 큰 희망을 갖고 등교하는 새 학기가 시작된다. 학생들이 마음껏 뛰어놀고 자신의 미래를 위해 멋진 꿈을 키워나가야 하는 학교생활이 시작되는 것이다. 그러나 새 ...
    Date2016.02.2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 49 Next
/ 49
비회원
우측 상단 버튼으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