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인터넷뉴스 남원넷

최종편집
  • 2025-07-15 12:04



민족의 영산이자 현대사의 아픈 역사가 살아 숨쉬고 있는 지리산의 한자락, 뱀사골 초입에 자리잡고 있는 지리산전적비와 지리산충혼탑을 찾아보았다.

지리산 뱀사골로 향하는 남원시 산내면 부운리에는 1948년 이후 한국전쟁을 전후하여 지리산에 출몰한 공비토벌작전시 산화한 호국영령을 추모하기 위해 1979년 교통부에서 이곳에 기념비를 세워 후세에게 반공교육의 교육장으로 추모코자 건립한 지리산지구 전적비와 2007년 재건립한 지리산충혼탑이 세워져 있다.


file60246.jpg
<지리산지구 전적비>


D3S_8676.jpg
<지리산충혼탑>


지리산충혼탑은 민족의 가슴에 붉은 상처를 안겨준 민족상잔의 비극 625사변때에 전쟁이 격량에 휩싸여 지리산에서 빨치산과 괴뢰군잔당을 토벌하다가 목숨을 잃은 민경군 7,283명의 영령을 모신 곳이다.
 LYS_1524.jpg


file60236.jpg

<이승만대통령의 충혼 휘호와 함께 충혼비 뒤에 새겨진 헌시>


처음에는 1955년 5월 15일 이승만 초대대통령의 휘호 충혼(忠魂)릏 새긴 이 충혼탑을 광한루원에 세웠으나 1987년 6월 6일 영령들이 산화하신 이 곳 뱀사골 현장으로 옮겼다고 한다. 


LYS_1539.jpg


그러나 탑이 건립된지 어언 50년이 지나 세월의 비와 바람에 돌은 마모되고 휘호는 훼손되어  자칫 그 정신마저 사라질 형편에 이르러 남원시와 대한민국참전경찰유공자회의 주선으로 터를 확장하고 충혼의 정신을 다시 새겨 충혼탑을 세웠다.


file60217.jpg


여순반란사건이후 국군의 진압으로  지리산으로 들어가 정규균형태의 조직을 갖춘 빨치산은 이후 남부군이라는 대규모 군사조직으로 개편해 최대 2만명의 세력을 형성하면서 지리산 일대에 출몰하여 일대의 주민들은 그들의 방화,살인,납치,약탈의 만헹에 시달려야 했다,
이런 피비린내 나는 만행과 유혈참극은 1963년 11월 정순덕이 체포되어 빨치산이 완전히 토벌된 10년동안이나 지속되었었다.


file60233.jpg


file60205.jpg


이 역사의 아픔이 살아 숨쉬고 있는 지리산충혼탑에는 당시 지리산에서 빨치산을 토벌하다가 희생된 민군경 7,238명의 이름이 또박또박 새겨져 있다.


LYS_1555.jpg


그들은 오직 조국 대한민국을 위해 한목숨을 바치며 빨치산과 싸웠다.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안녕과 평화는 이랗게 수천 또는 그이상의 고귀한 희생으로 얻어진 것임을 우리는 결코 잊어서는 안된다.


LYS_1543.jpg


그리고 항상 그들의 희생을 뜨겁게 감사하고 기억하며 그들이 염원했던 통일조국의 내일을 기약하는 계기로 삼고 열심히 노력해야 할 것이다.


LYS_1530.jpg


울긋불긋 단풍이 불들어가는 이 아름다운 지리산도 이곳을 지키기 위해 산화한 호국영령들의 희생이 있었기에 이렇게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고 이자리에 있지 않을까?


LYS_1527.jpg


마지막으로 지리산지구 전적비에 새겨진  글을 옮겨 본다.


일찌기 공산비적의 무리가 삼남의 지붕을 어지럽히던 날,
국군과 전투경찰이 멸공의 횃불을 여기에 밝혀
 적도를  토벌하였고,
이고장 이름없는 애국향민이
 신명을 함께 바쳐 향토를 지켰으니
 여기는 대유격전의 효시가 된 곳이요
 향토수호의 의지가 뭉쳐 빛난 곳이다.
그날의 증인으로 이돌을 세우니
 세월은 멀어지되 세워진 얼을 새로우리라.


임영식기자 rokmc153@naver.com


Copyright ⓒ 남원넷.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11> 지리산에 살며 지리산을 여행한다.

    지리산에 살며 지리산을 여행한다.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지리산에 들어와 삶의 둥지를 튼지 어느새 10년이 훌쩍 지나고 있다. 산속에 살림집을 짓고 나서 처음으로 하고 싶었던 일이 지리산을 폭넓게 이해하는 것이었다. 깊이있는 사진작업을 위해서도 폭...
    Date2015.05.29 By남원넷 Views5636
    Read More
  2.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12> 지리산과 백두대간이 만나는 곳 고리봉

    지리산과 백두대간이 만나는 곳 고리봉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 고리봉에 올라서 바라본 지리산 천왕봉 백두산에서 시작된 백두대간 산줄기는 1,400km를 흘러내려 지리산 천왕봉에서 멈춘다. 그중 산꾼들이 종주할 수 있는 남한의 최북단 진부령에서 부터 ...
    Date2015.06.06 By남원넷 Views5446
    Read More
  3.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13> 지리산에 살며 토종닭은 꼭 키워보고 싶었다.

    지리산에 살며 토종닭은 꼭 키워보고 싶었다.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시골에 살며 꼭 해야 할 일들이 있다. 그중 하나는 텃밭을 가꾸는 일이고 또 하나는 똥개 한 마리 쯤 키워보는 일이다. 도시 공간에서는 해볼 수 없는 일이기에 시골생활에서의 간절함으...
    Date2015.06.17 By남원넷 Views5143
    Read More
  4.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14> 젊은 여인의 영혼이 잠든 곳 지리산 만복대

    젊은 여인의 영혼이 잠든 곳 지리산 만복대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노고단에서 바래봉까지 지리산의 서북쪽으로 뻗은 능선을 지리산 서북능이라 한다. 이 서북능의 최고봉이 해발1,438m의 만복대 이다. 만복대는 이름 그대로 넉넉한 모습을 품고 있다. 동쪽...
    Date2015.06.27 By남원넷 Views4852
    Read More
  5.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15> 지리산에도 정치판은 있다.

    지리산에도 정치판은 있다.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도시의 바쁜 일상에서 나는 정치판에 별로 관심이 없었다. 나 말고도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적 식견과 폭넓은 경험을 갖춘 많은 사람들이 각자의 생각을 주장해 주고 불의에 항거해 줘 조금씩이나마 세상이 ...
    Date2015.07.13 By남원넷 Views3760
    Read More
  6.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16> 지리산 노고단은 할머니의 품입니다.

    지리산 노고단은 할머니의 품입니다.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지리산 최고봉은 천왕봉이지만 지리산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은 단연 노고단이다. 뱀사골 계곡에서 구례로 이어진 861번 지방도가 개설되며 성삼재까지 차가 갈 수 있는 것이 사시사철 ...
    Date2015.10.29 By남원넷 Views5976
    Read More
  7. 내 마음의 고향 지리산 반야봉

    내 마음의 고향 지리산 반야봉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지리산 주능선의 한가운데 사람의 엉덩이 형상으로 우뚝 선 반야봉은 높이 1,732m의 신비로운 자태의 아름다운 봉우리다. 불가에서 반야는 깨달음의 세계를 의미한다. 반야봉이 있기에 이곳에 오면 이치...
    Date2015.12.28 By남원넷 Views885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no_have_id

use_signup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