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인터넷뉴스 남원넷

최종편집
  • 2025-05-10 00:03



6.jpg

 

전라북도와 남원시는 30일 남원 청계리 고분군(전라북도 기념물 제145호) 3차 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학술자문회의는 전북지역 가야계 고총고분 성립기의 양상을 규명할 수 있는 자료를 확인하는 중요한 성과를 거뒀다.

 

청계리 고분군은 기존에 두 차례 발굴조사가 이루어진바 있다.

 

당시 발굴조사 결과 호남동부지역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가장 이른 시기의 가야계 고총이 확인됐고, 이러한 학술적·역사적 자료를 바탕으로 2020년 12월 전라북도 기념물 제145호에 지정됐다.

 

청계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수레바퀴장식토기편, 나무 빗은 아영분지의 가야세력과 아라가야, 대가야, 일본과의 교역이 있었음을 보여줬다.

 

금번 발굴조사에서는 모두 3기 돌덧널무덤과 1기의 토광묘가 확인됐다. 고분 내에서는 가야계 유물인 3단투창고배(그릇받침)과 백제계 유물인 광구장경호(항아리)가 함께 출토돼 백제와 가야세력의 역학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했다.

 

청계리 고분군은 출토유물과 무덤의 축조방식을 고려했을 때 1호분과 비슷한 시기인 5세기 중엽 무렵에 축조됐을 것으로 여겨진다.

 

고분의 축조방법은 가야고분의 성격 뿐 아니라 전통적인 요소(마한의 무덤축조 방식)도 함께 지니고 있어 전북지역 가야계 고총고분의 성립기의 양식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판단된다.

 

시 관계자는“남원 청계리 고분군은 인근의 월산리 고분군,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에 비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조성됐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전북지역 가야계 고총고분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학술적 자료로 여겨진다.”고 말했다. <편집부>

 

Copyright ⓒ 남원넷.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남원시, 한 여름밤의 소리여행 상설공연 시작

  2. 남원경찰서, '부패사체 운구' 하산유공 감사장 수여

  3. 남원시, 요리로 배움과 나눔 실천해요

  4. 남원시, 동물등록 제외지역 변경

  5. 남원시, 골목생생센터‘무더위쉼터’운영

  6. 남원경찰서, 하반기 인사 발령신고식

  7. 남원시, 남원드림스타트 코로나19 극복 위한 삼계탕 전달

  8. 남원경찰서, 교통사망사고 현장점검 실시

  9. 남원시, 여름철 피서지 쓰레기종합관리대책 추진

  10. 남원시, '백두대간 자생곤충 특별전' 22일까지 운영

  11. 남원시, 새벽 산길 주행하던 승용차 불… 1억원 재산피해

  12. 함양군, 사회적 거리두기 최고 수준인 4단계로 격상

Board Pagination Prev 1 ...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 654 Next
/ 654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no_have_id

use_signup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