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인터넷뉴스 남원넷

최종편집
  • 2025-09-14 21:37



지리산에 살며 토종닭은 꼭 키워보고 싶었다.


지리산_강병규.jpg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시골에 살며 꼭 해야 할 일들이 있다. 그중 하나는 텃밭을 가꾸는 일이고 또 하나는 똥개 한 마리 쯤 키워보는 일이다.


도시 공간에서는 해볼 수 없는 일이기에 시골생활에서의 간절함으로 다가오는지도 모른다. 나도 예외는 아니었다. 산중턱에 흙집을 짓고 시베리안 허스키 강아지 한마리를 분양 받았다. 그리고 텃밭을 일구어 상추와 고추를 심었다.


젊은 동료 사진작가들 몇은 반드시 토종닭을 키워야 한다며 집터 한 귀퉁이에 집을 짓고 남은 목재를 이용해 뚝딱뚝딱 닭장을 지어주었다. 그들의 흑심은 익히 짐작이 가지만 그리 싫지만은 않았다. 어린시절 고향에서 아랫집의 무서운 숫닭을 피해 도망 다니던 추억, 마당에서 모이를 쫒던 병아리들과 노닐던 기억들이 아직 생생했기 때문이다.


사진1.jpg
▲ 집 주변 소나무 숲에 구절초를 가꾸고 있다


아랫마을 목수일을 하는 총각의 소개로 우수한 종자의 토종닭 병아리 10마리를 분양받아 닭장에 넣었다. 아주 우수한 종자의 토종닭이란 말에 나름대로 자부심도 있었고 커가는 모습에 왠지 모를 품격도 느껴지는듯 했다.


언제부터인가 달걀도 낳기 시작했는데 크기는 작았지만 아주 단단한 느낌이었다. 매일 신선한 유정란을 맛보는 즐거움에 흑심을 품은 젊은 사진작가들의 방문이 가끔은 두렵기도 했다.


그러던 어느날 모이를 주러 갔다가 닭장이 훤해 보여 살펴보니 토종닭 다섯 마리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닭장 문은 원래대로 잘 잠겨 있었고 산짐승의 침입 흔적도 크게 눈에 띄지 않았다. 그리 며칠이 지나고 우연히 닭장 뒤에서 흙이 파인 웅덩이와 깃털 몇개를 발견했다.


그리고 짐승의 발자국을 발견했는데 산짐승 같지는 않았다. 얼마 전부터  금순이(시베리안허스키)의 목줄을 자주 풀어 주었었는데 혹시나 해서 살펴보았다. 범인은 역시 금순이 였다. 흙을 파 구멍을 만들어 놓고 기다리다, 호기심에 나와 보는 닭들을 순서대로 해치워 버린 것이다. 그날 금순이는 맞아 죽을뻔 했다.


사진2.jpg
▲지금은 대전으로 시집을 가서 잘 살고 있는 금순이 (시베리안 허스키)


그로부터 금순이는 자유를 잃었고 나머지 토종닭을 지키기 위한 보안을 강화했다. 그렇게 두어 달이 지나고 어느 여름날 갤러리를 방문하신 손님이 다급하게 전한다.


닭장의 닭들이 모두 죽어 있다고. 이번에는 금순이를 가만두지 않겠다고 다짐을 하고 나가보니 금순이는 목줄이 풀리지 않은채 반갑다고 꼬리만 치고 있었고, 닭장 안에는 닭들만 널부러져 있었다. 닭장의 좁은 틈을 이용한 흔적과 닭의 목만을 물어 죽여 놓은 것이 족제비의 소행으로 밖에  달리 볼 수 없었다.


닭의 사체를 모두 땅에 묻어주고 닭 키우는 것과의 인연을 끊었다. “그럴걸 가까운 사람들에게 몸보신이나 시켜주지 왜 그랬냐?”는 동료 작가들의 핀잔만 들으며 빈 닭장에 잡초만 무성한 채 몇 해를 보냈다. 


사진3.jpg
▲덕유산에서 만나 15년 아상 함께 작업하며 가까이 지내는 산사진작가들

 

어느해 따스한 봄날 하동으로 귀촌해 살고 있는 후배 산꾼 가족이 놀러왔다.


그리 무거워 보이지 않는 박스를 하나 들고 오는데 그안에서는 병아리의 조잘데는 소리가 들려왔다. 너무도 오랜동안 닭장이 비어 있어 을시년스럽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걱정스러움 반, 반가움 반이었다. 또다시 지난번의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이중으로 철망을 추가 설치하고 출입문도 빈틈이 없도록 다시 설치했다.


지금 데려온 토종닭들은 야생성도 좀 강하고 날이 저물면 둥지로 돌아오는 회귀성도 좋은 아주 똑똑한 품종이라고 자랑을 한다. 한 달만 닭장 안에서 모이를 주고 키운 다음 밖으로 풀어 놓으면 저녁에 반드시 닭장으로 돌아오니 문단속만 잘 해주란다.


그래도 혹시나 해서 두달 정도 닭장에서 키우고 방목을 했다. 역시 후배의 말처럼 저녁이면 밖에서 종일 노닐다 닭장으로 들어온다. 가끔 들고양이 들이 쫒으면 제법 멀리 날아 나뭇가지에 올라 앉는다. 짓궂은 젊은 동료 사진작가들이 놀러 와도 큰 걱정은 안됐다.


똑똑한 닭들 덕분에 다시 즐겁게 유정란의 신선함을 즐겼다. 그렇게 한 두달 후 저녁에도 닭들이 닭장에 돌아오지 않는 경우가 가끔씩 생기기 시작했다. 그러나 아침에 모이를 주면 예외 없이 뒤뚱거리며 어디에선가 나타나 주기에 큰 걱정을 하지 않았다.


사실 비행기술은 닭이라기보다는 꿩 수준 이어서 산짐승들로 부터의 위협도 웬만큼은 피할 수 있었다. 그리 가끔 가출을 하던 닭들이 급기야 며칠째 집에 들어오지 않는 일이 발생했다. 아무래도 집단 가출을 의심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대략 열흘쯤 지났을까?


암탉 한 마리가 집으로 돌아왔다. 얼마나 반가웠던지 온갖 기름진 모이를 다 주었다. 역시 머리 좋은 토종닭을 키운 보람이 있다고 생각했다. 같이 나간 닭들이 산짐승들에게 당하지 않았을 거란 확신이 섰다. 며칠후 이 암탉을 풀어 놓았다.


이놈의 뒤를 쫒으면 다른 일행들을 찾을 수 있을 거란 희망도 있었고 기름진 모이 맛을 봤으니 스스로 일행들을 데리고 올 거라는 기대도 있었다.


그러나 그 암탉마저 그날로 종적을 감추었다. 토종닭의 지능을 너무도 과신한 듯 했다. 그들이 왜 집단가출을 했을까 그 이유는 아직도 모르겠다. 약간 마음에 걸리는 건 암수 성비를 제대로 맞춰주지 못한 점과 밖에서의 먹이 활동이 활발해 보여 모이 주는 일을 가끔 게을리 한 점이 마음에 걸린다.


토종닭을 키우는 즐거움으로 달걀 몇 개 맛 본게 전부여서 닭장을 그냥 부셔버렸다. 토종닭을 제대로 키워 본다는 것, 내게는 요원한 꿈인 것 같다. <글/사진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Copyright ⓒ 남원넷.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천연기념물 제424호『지리산 천년송』당산제

    ▲천연기념물 제424호로 지정돼 오랜 역사와 더불어 아름다운 그 자태를 자랑하고 있는 지리산 천년송. 지리산과 마을 주민들의 안녕을 기원하는‘지리산 천년송 당산 산신제’가 2월 27일 11시에 마을주민과 관광객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민족의 영산인 지리산 깊...
    Date2015.02.15 By편집부 Views5228
    Read More
  2. 지리산 만복대, 그곳에서 만복을 누리라

    백두대간학교(교장 이철승, 백두대간 전문가)의 2015년 2월 제50강은 2월 28일(토) &lt;백두대간 지리산 만복대(萬福臺) 구간&gt;입니다. 이번 산행 주제는 &lt;지리산 만복대에서 만복을 나누다&gt;입니다. 지리산 서부에 위치한 만복대는 풍수지리적으로 지리산의 많은 ...
    Date2015.01.26 By최재식기자 Views4691
    Read More
  3. 지리산의 고찰 실상사

    실상사는 지리산 천왕봉을 마주하고 자리한 절로 신라 흥덕왕 3년 (828)에 홍척스님이 세웠다. 신라말기 불법보다 참선을 중 시한 선종의 여러 종파가 전국 명산에 절을 세웠는데, 실상 사가 이렇게 세워진 구산선문 중 최초의 가람이다. 정유재 란때 모두 불...
    Date2014.11.26 By남원넷 Views1484
    Read More
  4. 남원의 국보, 백장암 삼층석탑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 홍척(洪陟)이 창건하어 지리산 천왕봉 서편에 위치하고 있는 실상사, 이곳에서 북쪽으로 얼마쯤 가다보면 백장암(百丈庵)이 나타나는데, 백장암은 실상사에 딸린 소박한 암자로 대웅전 앞에는 삼층석탑이 세워져 있다. 바로 국보 제1...
    Date2014.11.06 By남원넷 Views3457
    Read More
  5. 지리산에 첫눈이 내렸다.

    지리산에 가을비가 내리는 가운데 단풍도 절정에 이르렀다. 가을비가 그치고 지리산 천왕봉과 반야봉에 단풍이 다 지기도 전에 11월3일 첫눈이 내렸다. /최재식 기자 | jschoi910@hanmail.net ▲지리산 천왕봉 ▲지리산 반야봉
    Date2014.11.04 By최재식기자 Views1449
    Read More
  6. 지리산의 호국영령들을 찾아서

    민족의 영산이자 현대사의 아픈 역사가 살아 숨쉬고 있는 지리산의 한자락, 뱀사골 초입에 자리잡고 있는 지리산전적비와 지리산충혼탑을 찾아보았다. 지리산 뱀사골로 향하는 남원시 산내면 부운리에는 1948년 이후 한국전쟁을 전후하여 지리산에 출몰한 공비...
    Date2014.10.25 By임영식기자 Views3000
    Read More
  7. 김미곤 대장과 함께걷는 지리산둘레길

    ‘남원이 낳은 세계 최고의 산악인 김미곤 대장과 함께 하는 지리산 둘레길 가을을 걷다’가 지난 11일 지리산둘레길 3구간에서 시민, 학생, 산악동호회인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김미곤 대장과 기념사진 ▲김미곤 대장의 인사말 ▲김미곤 대장의 사인회 ▲김...
    Date2014.10.15 By최재식기자 Views718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no_have_id

use_signup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