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인터넷뉴스 남원넷

최종편집
  • 2025-09-14 21:37



젊은 여인의 영혼이 잠든 곳 지리산 만복대


dd1e2b1a80d10aa21b8f252417fc8841.jpg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노고단에서 바래봉까지 지리산의 서북쪽으로 뻗은 능선을 지리산 서북능이라 한다. 이 서북능의 최고봉이 해발1,438m의 만복대 이다.  만복대는 이름 그대로 넉넉한 모습을 품고 있다. 동쪽으로는 달궁계곡 건너의 천왕봉을 마주하고 남쪽으로는 노고단을 바라본다. 그사이 웅장하게 우뚝 선 반야봉을 마주하는데 온화하며 우직한 거인을 보는 느낌이었다. 만복대 북동쪽과 동남쪽 사면은 완만하면서 넓은 여인의 치마폭 같은 구릉지대이다. 한눈에 보아도 물과 식생이 풍요로워 보이는 넉넉한 지형이다. 아직 확인은 못하였으나 만복대 주변으로는 반드시 사람 삶의 흔적이 있었으리란 생각이 든다. 가을이면 만복대 동쪽으로 뻗은 능선을 중심으로 억새가 흐드러 진다. 아침 햇살을 받아 바람에 흔들리며 반짝이는 억새꽃을 바라보면 마치 영화 속의 주인공으로 내가 서있는 듯한 기분이다.


사진4.jpg
▲ 지리산 반야봉을 마주 바라보는 곳에 선 필자.


북쪽과 서쪽으로는 남원 운봉과 구례 산동을 내려다 본다.  산동은 지리산 온천지역으로도 유명하고 이른 봄이면 지리산 산수유꽃 축제로 수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지리산의 개발과 보존 사이에서 많은 갈등이 존재하는 곳이기도 하다. 산과 자연을 아끼려는 사람들은 무식한 자본가들의 난개발 이라고 할 것이고, 일 년에 한두 번 지리산에 여행을 오는 사람들에게는 편안한 휴식의 장소가 되어 주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는 것이다. 어느 쪽이 덜 중요하다 말하기 힘들다. 이를 적절히 감안한 지리산다운 개발과 운용의 지혜가 필요하다.


사진1.jpg
▲ 남쪽 지리산 노고단까지 이어지는 능선길 아래 치마폭처럼 넓은 구릉지대


만복대에서 서쪽으로 뻗은 산줄기는 월계재와 다름재를 지나 밤재로 이어진다. 산동 월계에서 북쪽으로 월계재를 넘으면 행정구역상으론 남원시 주천면이지만 실제로는 운봉고원의 남단이다. 이곳은 어마어마한 철기유적이 산재해 있는 곳이다. 최근 발굴을 통해 조선시대까지의 유물들을 확인했는데 운봉고원의 북쪽 남원시 아영면 두락리 가야고분에서 출토되는 철기유물로 보아 지리산에서의 제철역사는 가야시대 때까지로 추정한다. 지리산에서 생산된 우수한 품질의 철은 철괴 형태로 만들어져 화폐의 기능까지도 했는데 이를 기반으로 운봉고원의 사람들은 부와 힘을 갖게 되었다. 초대형 야철지가 있는 이곳이 만복대 기슭이며 우리나라 철기문화의 메카로 보고 있다. 만복대라는 지명을 왜 갖게 되었는지 충분히 유추해 볼 만 하다. 


사진5.jpg
▲ 우연히 만복대 정상에서 만난 경인일보 김종화 기자의 취재모습


만복대 정상에서 동쪽 산길로 살짝 내려서면 달궁계곡을 내려다보며 반야봉을 마주할 수 있는 곳이 있는데 이곳에 조그마한 돌무더기와 나무말뚝 하나가 서있었다. 만복대를 정말로 좋아하고 사랑하던 어느 젊은 여인의 영혼이 잠든 곳이다. 삶과 사랑 사이에서 너무도 힘들어 했던 그녀는 내 육신을 만복대에 뿌려달라는 메모를 남기고 삶을 포기했다. 아프고 힘든 삶을 만복대에서 위안받고 헤쳐나가 보려했지만 끝내 그러지 못한 가여운 여인의 고뇌가 안쓰럽게 느껴진다. 지금은 돌무더기와 나무말뚝의 흔적은 사라졌지만 늦가을 억새꽃이 한창일 때면 만복대에서의 행복한 추억을 함께했던 친구들 몇몇이 이곳에서 소주잔을 기울이곤 한다.


사진2.jpg
▲ 가을이면 억새꽃이 흐드러지게 피어나는 산 능선


사진3.jpg
▲ 만복대 가는 길 바위틈에서 만난 이름 모를 예쁜 식물. 


만복대는 기암괴석으로 빼어난 용모를 자랑하는 산봉우리는 아니지만 포근한 모습이고 마음의 고향 같은 곳이다.  혹여 마음이 울적하고 삶이 고단하다면 꼭 만복대를 찾아보기 바란다. 만복대는 접근성이 가장 좋은 지리산 봉우리중 하나이다. 737번 지방도로를 따라와 정령치 휴게소에서 부터 시작하는 만복대 등산길은 1시간 정도면 충분할 정도로 가까운 거리이다. 다만 동절기는 노면이 동결되는 이유로 도로를 폐쇄한다. 일상의 고단함을 지리산 만복대는 온전히 안아줄 것이다. 지리산을 노래하는 이원규 시인의 한 시구절처럼 행여 견딜만하면 오지 마시라.  <글/사진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Copyright ⓒ 남원넷.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

  1. 천연기념물 제424호『지리산 천년송』당산제

    ▲천연기념물 제424호로 지정돼 오랜 역사와 더불어 아름다운 그 자태를 자랑하고 있는 지리산 천년송. 지리산과 마을 주민들의 안녕을 기원하는‘지리산 천년송 당산 산신제’가 2월 27일 11시에 마을주민과 관광객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민족의 영산인 지리산 깊...
    Date2015.02.15 By편집부 Views5228
    Read More
  2. 지리산 만복대, 그곳에서 만복을 누리라

    백두대간학교(교장 이철승, 백두대간 전문가)의 2015년 2월 제50강은 2월 28일(토) &lt;백두대간 지리산 만복대(萬福臺) 구간&gt;입니다. 이번 산행 주제는 &lt;지리산 만복대에서 만복을 나누다&gt;입니다. 지리산 서부에 위치한 만복대는 풍수지리적으로 지리산의 많은 ...
    Date2015.01.26 By최재식기자 Views4691
    Read More
  3. 지리산의 고찰 실상사

    실상사는 지리산 천왕봉을 마주하고 자리한 절로 신라 흥덕왕 3년 (828)에 홍척스님이 세웠다. 신라말기 불법보다 참선을 중 시한 선종의 여러 종파가 전국 명산에 절을 세웠는데, 실상 사가 이렇게 세워진 구산선문 중 최초의 가람이다. 정유재 란때 모두 불...
    Date2014.11.26 By남원넷 Views1484
    Read More
  4. 남원의 국보, 백장암 삼층석탑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 홍척(洪陟)이 창건하어 지리산 천왕봉 서편에 위치하고 있는 실상사, 이곳에서 북쪽으로 얼마쯤 가다보면 백장암(百丈庵)이 나타나는데, 백장암은 실상사에 딸린 소박한 암자로 대웅전 앞에는 삼층석탑이 세워져 있다. 바로 국보 제1...
    Date2014.11.06 By남원넷 Views3457
    Read More
  5. 지리산에 첫눈이 내렸다.

    지리산에 가을비가 내리는 가운데 단풍도 절정에 이르렀다. 가을비가 그치고 지리산 천왕봉과 반야봉에 단풍이 다 지기도 전에 11월3일 첫눈이 내렸다. /최재식 기자 | jschoi910@hanmail.net ▲지리산 천왕봉 ▲지리산 반야봉
    Date2014.11.04 By최재식기자 Views1449
    Read More
  6. 지리산의 호국영령들을 찾아서

    민족의 영산이자 현대사의 아픈 역사가 살아 숨쉬고 있는 지리산의 한자락, 뱀사골 초입에 자리잡고 있는 지리산전적비와 지리산충혼탑을 찾아보았다. 지리산 뱀사골로 향하는 남원시 산내면 부운리에는 1948년 이후 한국전쟁을 전후하여 지리산에 출몰한 공비...
    Date2014.10.25 By임영식기자 Views3000
    Read More
  7. 김미곤 대장과 함께걷는 지리산둘레길

    ‘남원이 낳은 세계 최고의 산악인 김미곤 대장과 함께 하는 지리산 둘레길 가을을 걷다’가 지난 11일 지리산둘레길 3구간에서 시민, 학생, 산악동호회인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김미곤 대장과 기념사진 ▲김미곤 대장의 인사말 ▲김미곤 대장의 사인회 ▲김...
    Date2014.10.15 By최재식기자 Views718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no_have_id

use_signup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