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인터넷뉴스 남원넷

최종편집
  • 2025-06-30 23:04



D3S_7881.jpg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 홍척(洪陟)이 창건하어 지리산 천왕봉 서편에 위치하고 있는 실상사, 이곳에서 북쪽으로 얼마쯤 가다보면 백장암(百丈庵)이 나타나는데, 백장암은 실상사에 딸린 소박한 암자로 대웅전 앞에는 삼층석탑이 세워져 있다.


D3S_7884.jpg


바로 국보 제10호 백장암 삼층석탑이다.

남원의 유일한 국보인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은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D3S_7885.jpg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으로 높이 5m로 국보 제10호로 지정되어 있다. 전체를 화강암으로 건조한 이 석탑은 현재의 백장암 남쪽 아래 경작지에 남아 있어 석탑 바로 뒤에 서 있는 석등과 같이 원래의 위치로 생각되며, 그 북쪽에 법당지로 추정되는 건물지가 뚜렷한 점으로 보아 본래는 백장암이 이곳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D3S_7890.jpg


낮은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으로 4면에는 난간을 섬세하게 양각하고 있다. 일반적인 탑은 위로 올라갈수록 너비와 높이가 줄어드는데 비해 이 탑은 너비가 거의 일정하며, 2층과 3층은 높이도 비슷하다. 층을 이루지 않고 두툼한 한 단으로 표현된 지붕돌의 받침도 당시의 수법에서 벗어나 있다.


D3S_7891.jpg


1층은 그 남면에 문비를 중심으로 사천왕상이 조각되어 있으며, 다른 3면에 보살상, 천왕상, 동자상 등이 조각되어 있다.


D3S_7891_1.jpg


2층과 3층은 아래쪽에 난간을 장식하고 그 위로 목조건축의 두공형을 모각하였는데, 2층에는 각 면에 2구씩 음악을 연주하는 천인상(天人像)을 새겼고, 3층에는 각 면 1구씩의 천인좌상(天人坐像)을 양각하였다.


D3S_7909.jpg


2층과 3층은 아래쪽에 난간을 장식하고 그 위로 목조건축의 두공형을 모각하였는데, 2층에는 각 면에 2구씩 음악을 연주하는 천인상(天人像)을 새겼고, 3층에는 각 면 1구씩의 천인좌상(天人坐像)을 양각하였다.

상륜부는 파손된 부분도 있으나 네모진 노반석 위에 복발, 보륜, 보개, 수연 등 부재가 찰주기둥에 꼽혀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LYS_1117.jpg


LYS_1122.jpg


일반적인 형식에 구애 받지 않고서 풍부한 예술성과 독창적 상상력을 담아 만든 석탑이다. 마치 나무를 다루듯 돌을 섬세하게 조각한 모습이 시대를 뛰어넘는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또한 탑 전체에 조각이 가득하여 기단은 물론 탑신에서 지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조각이 나타난다.

통일신라시대 후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측되는 이 탑은 갖가지 모습들의 조각으로 화려하게 장식하는 등 형식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구조가 돋보이고 있어, 당시를 대표하는 아름다운 석탑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D3S_7892.jpg


D3S_7912.jpg

 <임영식기자 rokmc153@naver.com>


Copyright ⓒ 남원넷.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천연기념물 제424호『지리산 천년송』당산제

    ▲천연기념물 제424호로 지정돼 오랜 역사와 더불어 아름다운 그 자태를 자랑하고 있는 지리산 천년송. 지리산과 마을 주민들의 안녕을 기원하는‘지리산 천년송 당산 산신제’가 2월 27일 11시에 마을주민과 관광객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민족의 영산인 지리산 깊...
    Date2015.02.15 By편집부 Views5222
    Read More
  2. 천연기념물 제424호 "지리산 천년송" 당산제, "소원을 빌어요"

    ▲지리산 뱀사골 계곡 와운(臥雲)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천년송(천연기념물 제424호) 당산제에 강동원 의원과 제관들이 제를 올리고있다. 구름도 누워간다는 전북 남원시 산내면 지리산 뱀사골 계곡 와운(臥雲)마을에서 27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
    Date2015.02.27 By편집부 Views4640
    Read More
  3. 지리산의 호국영령들을 찾아서

    민족의 영산이자 현대사의 아픈 역사가 살아 숨쉬고 있는 지리산의 한자락, 뱀사골 초입에 자리잡고 있는 지리산전적비와 지리산충혼탑을 찾아보았다. 지리산 뱀사골로 향하는 남원시 산내면 부운리에는 1948년 이후 한국전쟁을 전후하여 지리산에 출몰한 공비...
    Date2014.10.25 By임영식기자 Views2995
    Read More
  4. 지리산의 선물 고로쇠 -‘골리수(骨利樹)’

    ▲고로쇠나무는 단풍나무과의 활엽수 ▲우수~경칩 수액이 으뜸 고로쇠 약수란 고로쇠나무의 수액이다. 고로쇠나무는 단풍나무과의 활엽수로. 높이 20㎙까지 자라며 5월에 연한 황록색의 꽃을 피운다. 목재는 치밀하고 단단해 잘 갈라지지 않는다. ▲고로쇠나무는 ...
    Date2015.02.19 By편집부 Views4817
    Read More
  5. 지리산의 고찰 실상사

    실상사는 지리산 천왕봉을 마주하고 자리한 절로 신라 흥덕왕 3년 (828)에 홍척스님이 세웠다. 신라말기 불법보다 참선을 중 시한 선종의 여러 종파가 전국 명산에 절을 세웠는데, 실상 사가 이렇게 세워진 구산선문 중 최초의 가람이다. 정유재 란때 모두 불...
    Date2014.11.26 By남원넷 Views1478
    Read More
  6. 지리산에 첫눈이 내렸다.

    지리산에 가을비가 내리는 가운데 단풍도 절정에 이르렀다. 가을비가 그치고 지리산 천왕봉과 반야봉에 단풍이 다 지기도 전에 11월3일 첫눈이 내렸다. /최재식 기자 | jschoi910@hanmail.net ▲지리산 천왕봉 ▲지리산 반야봉
    Date2014.11.04 By최재식기자 Views1445
    Read More
  7. 지리산 만복대, 그곳에서 만복을 누리라

    백두대간학교(교장 이철승, 백두대간 전문가)의 2015년 2월 제50강은 2월 28일(토) &lt;백두대간 지리산 만복대(萬福臺) 구간&gt;입니다. 이번 산행 주제는 &lt;지리산 만복대에서 만복을 나누다&gt;입니다. 지리산 서부에 위치한 만복대는 풍수지리적으로 지리산의 많은 ...
    Date2015.01.26 By최재식기자 Views4685
    Read More
  8. 입춘 맞아 지리산을 마신다, 봄을 먹는다 - 고로쇠 채취 시작

    ▲지리산 자락의 고로쇠 수액 채취를 위해 직경 1~2㎝의 구멍을 뚫어 호스를 연결하는 작업을 하고있다. 입춘을 맞아 기온이 올라가며 산중에도 봄이 왔음을 알리는 대표적 전령사, 지리산 자락의 고로쇠 수액 채취가 시작됐다. ▲지리산 자락의 고로쇠 수액 채...
    Date2015.02.22 By편집부 Views3780
    Read More
  9. 내 마음의 고향 지리산 반야봉

    내 마음의 고향 지리산 반야봉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지리산 주능선의 한가운데 사람의 엉덩이 형상으로 우뚝 선 반야봉은 높이 1,732m의 신비로운 자태의 아름다운 봉우리다. 불가에서 반야는 깨달음의 세계를 의미한다. 반야봉이 있기에 이곳에 오면 이치...
    Date2015.12.28 By남원넷 Views8843
    Read More
  10. 남원의 국보, 백장암 삼층석탑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 홍척(洪陟)이 창건하어 지리산 천왕봉 서편에 위치하고 있는 실상사, 이곳에서 북쪽으로 얼마쯤 가다보면 백장암(百丈庵)이 나타나는데, 백장암은 실상사에 딸린 소박한 암자로 대웅전 앞에는 삼층석탑이 세워져 있다. 바로 국보 제1...
    Date2014.11.06 By남원넷 Views3453
    Read More
  11. 김미곤 대장과 함께걷는 지리산둘레길

    ‘남원이 낳은 세계 최고의 산악인 김미곤 대장과 함께 하는 지리산 둘레길 가을을 걷다’가 지난 11일 지리산둘레길 3구간에서 시민, 학생, 산악동호회인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김미곤 대장과 기념사진 ▲김미곤 대장의 인사말 ▲김미곤 대장의 사인회 ▲김...
    Date2014.10.15 By최재식기자 Views7177
    Read More
  12.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9> 지리산에서도 부부싸움은 한다.

    지리산에서도 부부싸움은 한다.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잠시 외출을 했는데 갑자기 아내로부터 문자가 왔다. 원하면 아이를 데리고 친정으로 가겠다는 내용이다. 시골에서의 삶을 아직은 힘들어 하는 아내에게 너무 짜증난 표정 짓지 마라고 투덜거린 적이 ...
    Date2015.05.13 By남원넷 Views3865
    Read More
  13.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8> - 지리산에선 잘 먹고 잘 노는 게 잘 사는 길이다.

    지리산에선 잘 먹고 잘 노는 게 잘 사는 길이다.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 연초록의 어린찻잎이 너무도 아름다운 녹차 밭 연초록 나뭇잎이 아기주먹처럼 귀엽게 잎을 피우기 시작한다. 신록의 가장 극적인 아름다움을 필름에 담고자 한다면 지금 여행을 떠나...
    Date2015.05.06 By남원넷 Views4855
    Read More
  14.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7> - 지리산에서 도를 닦으며 산다는 것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지리산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지리산 기슭에 사는 사람들을 참으로, 무척 부러워한다. 여건만 되면 지리산에 와서 조그만 집을 짓고 늘 지리산을 바라보며 그 속에서 살겠다는 것이 그들의 공통된 희망사항이다. 나도 그랬다. 고려의 ...
    Date2015.04.27 By남원넷 Views5536
    Read More
  15.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6> - 가장 지리산다운 것이 가장 아름답다.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가끔 나는 사진작가로서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고 몇날 며칠을 짜증과 막걸리로 보내곤 한다. 20여년을 지리산 만 필름에 담아 왔지만 세월이 흐를수록 그 공허감은 더 커가기만 한다. 몇 해 전부터 여러가지 작업들을 해보고 있다. 지...
    Date2015.04.19 By남원넷 Views3660
    Read More
  16.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5> - 시집, 장가 가려면 지리산으로 와라

    시집, 장가 가려면 지리산으로 와라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함께 산행을 종종했던 여자 후배에게서 수년 만에 연락이 왔다. 결혼한다는 소식 이후 잊고 살아왔는데, 인터넷 매체를 통해 우연히 나의 소식을 접했다 한다. 젊은 날 철없이 시작한 사업에 크게 ...
    Date2015.04.13 By남원넷 Views3644
    Read More
  17.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4> - 지리산에서의 삶을 꿈꾸는 사람들

    지리산에서의 삶을 꿈꾸는 사람들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지리산이 잘 보이는 언덕에 예쁘게 지어진 하얀집 자식을 낳으면 서울로 보내야 한다는 것이 아직은 많은 사람들의 당연한 생각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어느 정도 나이가 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
    Date2015.04.06 By남원넷 Views4396
    Read More
  18.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3> - 꽃피는 봄날은 장날이다.

    꽃피는 봄날은 장날이다.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멀리 보이는 지리산 천왕봉엔 아직도 잔설이 많이 남아 있다. 산 넘어 남쪽 섬진강변은 꽃소식이 한창 이지만 내가 사는 이곳 지리산 북쪽 골짜기는 외투를 벋어 던지기가 아직은 두렵다. 하지만, 마당 양지 ...
    Date2015.03.30 By남원넷 Views3926
    Read More
  19.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2> - 지리산이 품고 있는 또 다른 보물

    지리산이 품고 있는 또 다른 보물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1,915m 지리산 천왕봉을 중심으로 아름다운 산세가 지리산이 품고 있는 큰 보물 중 하나라면 그 속의 문화유산들과 같이 살아가는 사람들 역시 큰 보물 들이다. 이토록 지리산이 품고 있는 각각의 수...
    Date2015.03.22 By남원넷 Views4431
    Read More
  20. 강병규의 지리산이야기<1> - “지리산” 무엇이 그리도 좋은가?

    “지리산” 무엇이 그리도 좋은가? 지리산 사진작가 강병규 도시의 삶을 버리고 지리산 자락에 스며들어 둥지를 틀은 지 벌써 10년이 다 되어간다. 그토록 소망했던 지리산에서의 삶이었지만 그리 녹녹하지는 안았던 것 같다. 따뜻한 품으로 온전히 안아줄 줄 알...
    Date2015.03.14 By남원넷 Views637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PC방, 학교, 도서관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no_have_id

use_signup

X